본문 바로가기
개미는 뚠뚠

프로테라 (티커: PTRA) 폭락이유, 주가와 전망

by minchoba 2021. 9. 7.
반응형

봄에 피 봤던 종목인 프로테라 PTRA... 저 말고도 많은 분들이 피 보셨을 것 같은데요

최근에 조금 살아나는 것 같아서 (그동안 떨어진거 생각하면 올랐다고 하기 어렵지만요) 프로테라 일은 하는 건지 어떻게 되어가는 건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와 지난 5일간 무려 12.82% 가 급등했습니다. 미국장이 전체적으로 중소형주들한테 온기를 넣어주고 있네요. 그간 최고가는 31달러였는데 아직 절반도 가지 못 했지만 최저가인 8달러에서 조금 올라왔네요.

 

 

얼마 전에 초단타로 조금 담았다가 무서워서 금방 팔았네요 ㄷㄷ

 

 

프로테라가 추후에 넘어야 할 산이 하나 있는데요... 저 24불대의 엄청난 매물대입니다...

주가가 저 근처만 가도 그동안 참고 견뎌낸 사람들이 탈출하려고 할 테니까요;;

 

프로테라는 전기운송차량, 대표적으로 트럭이나 버스 등을 제작합니다.

 

 

아직 큰 이익이 나지는 않는데 최근 미국에서 민주당이 스쿨버스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발표를 하면서 전기운송차량 업계들의 주가가 살아나고 있습니다.

기존의 스쿨버스를 모두 전기버스로 바꾸는 과정에 10년간 250억 달러, 우리 돈 약 30조원을 지원하겠다고 하는데요

역시 천조국..ㄷㄷ 스쿨버스를 전기차로 바꾸면서 환경문제와 아이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며 바이든 대통령의 대규모 인프라 재건 계획에 부응하겠다는 주장을 하고 있어요.

 

위와 같은 법안에 현재 미국 내 전기버스 점유율이 높은 중국의 BYD라는 업체도 주목을 받았으나 미국과 중국의 싸움에서 그 수혜가 중국 업체에게 돌아갈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더욱 미국의 전기버스 기업에 기대감을 갖는 것 같아요

 

 

그리고 미국 에너지장관인 제니퍼그랜홈(Jannifer Granholm)은 프로테라(PTRA)의 이사였으나 장관직을 담당하기 직전에 보유하고 있던 프로테라의 보유 자산을 모두 매각 후 이사직에서 사임했다고 알려졌습니다.

 

프로테라 주가가 급락한 이유로 많은 파이프라인들의 매도, 스팩주 기대감 저하, 그 당시 너무 많이 쏟아져 나온 IPO 등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요. 현재 프로테라(PTRA)는 연간 680대의 버스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원자재의 75%가 미국 내에서 조달된다고 합니다. 바이든 정부에서 미국 구매 기준을 현행 55%에서 24년 65% 29년 75%까지 올리겠다고 제안했는데 이미 미국내에서 대부분의 자재를 조달하여 제작하는 프로테라는 이런 규정이 생겨도 재무에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진정한 made in USA 네요

 

 

2021년 2월에는 메릴랜드 몽고메리 카운티 공립학교에 4년간 326대의 전기 스쿨버스를 공급한다는 계약을 체결하여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단일 전기버스 공급계약을 성사시켰습니다. 약 16만명 이상의 학생이 다니는 200여개의 학교를 운영 중인 몽고메리 카운티 공립학교는 주차장 차고에 전기버스 충전시설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또한 북미를 넘어서 영국 런던의 상업용 전기트럭 제조업체인 Volta Truck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기도 하였는데요, 프로테라에서 제공하는 배터리는 한 번의 충전으로 200km의 주행이 가능하여 도시내 화물운송 차량들에게 충분한 용량이라고 전해집니다. 도시에서 주행하는 화물차의 속도를 빠르지 않아서 전기트럭이 적합할 수 있겠네요

 

 

 

영국에 이어 일본입니다. 21년 1월 일본 중장비업체인 고마쓰와 배터리팩 공급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고마쓰사의 대형 전기굴삭기에 배터리팩을 공급합니다. 그동안은 트럭, 버스 등에만 사용되던 프로테라 배터리가 중장비에도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니 앞으로의 횡보도 기대되네요

 

 

 

또한 미국 국방부와 전기 군용 차량에 대한 꾸준한 대화, 친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한 배터리 재활용 연구 등 열심히 일은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승승장구해서 많은 사람들을 구조하러 가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